데이터 분석에 필수적인 엑셀! 특히 일정한 규칙을 가진 숫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싶으신가요? SEQUENCE와 ROW 함수를 활용하면 마법처럼 셀을 넘나들며 원하는 숫자 패턴을 만들 수 있습니다. 엑셀 초보부터 고수까지, 모두에게 유용한 팁들을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핵심 키워드: 엑셀, 숫자 입력, SEQUENCE, ROW, IF, MOD, TRANSPOSE, 칸 건너뛰기.
숫자 패턴 생성의 마법, SEQUENCE 함수
SEQUENCE 함수는 말 그대로 숫자 시퀀스를 생성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행, 열, 시작 값, 증분 값만 설정하면 원하는 숫자 패턴이 뚝딱! 등차수열부터 홀수/짝수, 특정 배수열까지, SEQUENCE 함수 하나면 엑셀 마법사가 될 수 있습니다.
등차수열? 식은 죽 먹기!
=SEQUENCE(행 개수, 열 개수, 시작 값, 증분 값)
이게 바로 SEQUENCE 함수의 기본 공식입니다. 예를 들어 1부터 10까지 숫자를 세로로 나열하고 싶다면? =SEQUENCE(10, 1, 1, 1)
을 입력하면 됩니다. 만약 1부터 20까지 2씩 증가하는 수열을 원한다면? =SEQUENCE(10, 1, 1, 2)
를 입력하면 1, 3, 5, 7… 마법처럼 숫자가 나타납니다! 가로로 배열하고 싶다면 행과 열의 개수를 바꾸면 됩니다. =SEQUENCE(1, 10, 1, 1)
처럼요!
홀수, 짝수열도 문제없어요!
SEQUENCE와 MOD 함수를 함께 사용하면 홀수, 짝수열 생성도 간단합니다. MOD 함수는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죠. 2로 나눈 나머지가 0이면 짝수, 1이면 홀수! =FILTER(SEQUENCE(10),MOD(SEQUENCE(10),2)=0)
이렇게 입력하면 2, 4, 6, 8, 10! 짝수열 완성입니다. 홀수열은 =FILTER(SEQUENCE(10),MOD(SEQUENCE(10),2)=1)
와 같이 조건만 살짝 바꿔주면 됩니다.
특정 배수열? 이것도 SEQUENCE로!
3의 배수열을 만들고 싶다고요? =FILTER(SEQUENCE(15),MOD(SEQUENCE(15),3)=0)
이렇게 입력하면 3, 6, 9, 12, 15! SEQUENCE 함수와 MOD 함수의 조합은 정말 환상적입니다. 시작 값과 범위를 조정해서 원하는 배수열을 자유자재로 만들어 보세요.
ROW 함수와 IF 함수로 셀 넘나들기
ROW 함수는 셀의 행 번호를 알려주는 함수입니다. IF 함수와 MOD 함수를 함께 사용하면 특정 조건에 따라 칸을 건너뛰며 숫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n칸 간격으로 숫자 입력하기
2칸 간격으로 숫자를 넣고 싶다면? =IF(MOD(ROW(),2)=1,ROW()/2,"")
이 수식을 사용하면 됩니다. 현재 행 번호가 홀수면 행 번호를 2로 나눈 값을, 짝수면 빈칸을 표시합니다. 3칸 간격은? =IF(MOD(ROW(),3)=1,ROW()/3,"")
처럼 MOD 함수의 두 번째 인수만 바꿔주면 됩니다. 참 쉽죠?
조건에 따라 칸 건너뛰기!
IF 함수를 활용하면 조건에 따라 칸을 건너뛸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A1 셀 값이 10보다 크면 숫자를 입력하고 싶다면? =IF(A1>10,ROW(),"")
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A1 셀 값이 10보다 크면 현재 행 번호를, 그렇지 않으면 빈칸을 표시하게 됩니다. IF 함수와 다른 함수들을 조합하면 더욱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TRANSPOSE 함수로 행과 열 바꾸기
TRANSPOSE 함수는 행과 열을 바꿔주는 마법 같은 함수입니다. SEQUENCE 함수로 만든 숫자 패턴을 가로에서 세로로, 세로에서 가로로 자유롭게 바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RANSPOSE(SEQUENCE(10))
을 입력하고 Ctrl + Shift + Enter를 누르면 1부터 10까지의 숫자가 가로로 뿅! 하고 나타납니다. 배열 수식이기 때문에 Ctrl + Shift + Enter를 꼭 눌러줘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날짜 데이터? SEQUENCE 함수에게 맡겨봐!
SEQUENCE 함수는 날짜 데이터 생성에도 유용합니다. 2026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날짜 데이터를 만들고 싶다면? =SEQUENCE(366,1,DATE(2026,1,1),1)
이렇게 입력하면 됩니다. 2026년은 윤년이라 366일이라는 점! 깨알 팁입니다. 이렇게 생성된 날짜 데이터를 활용하면 연도별, 월별, 일별 데이터 분석이 훨씬 쉬워집니다. WORKDAY 함수, NETWORKDAYS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평일이나 업무일만 쏙쏙 뽑아낼 수도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엑셀 함수 마스터への道
SEQUENCE, ROW, IF, MOD, TRANSPOSE… 이 함수들을 잘 활용하면 엑셀에서 원하는 숫자 패턴을 자유자재로 만들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엑셀 함수 마스터가 되는 길,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엑셀 실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보세요! 데이터 분석, 이제 걱정하지 마세요! 엑셀과 함께라면 무서울 것이 없습니다.
'엑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근무일 계산 시작일~종료일, 공휴일 제외 자동화 함수 (1) | 2025.02.23 |
---|---|
엑셀 동적 데이터 목록 만들기 정렬, 개수 설정 방법 (SORT, CHOOSE 함수 활용) (0) | 2025.02.23 |
엑셀 날짜 시간 자동 입력, 원하는 서식 한 번에! (SEQUENCE, TEXT 함수 활용) (0) | 2025.02.22 |
엑셀 날짜 2개월 이내 임의 지정 방법(RANDARRAY, RAND 함수 활용) (0) | 2025.02.21 |
엑셀 2차원 테이블에서 임의 데이터 추출 INDEX, RAND 함수 활용 (0) | 2025.02.21 |